Close

최신교육동향

‘빅데이터 시대’ 문 열렸는데…고등교육은 아직?2018-10-07,
첨부파일
[출처] 한국대학신문_2018. 10. 07.

‘빅데이터 시대’ 문 열렸는데…고등교육은 아직?

효과적인 구조조정‧교원수급계획 등 빅데이터 이용한 정책 필요성多
국내 교육 빅데이터 연구 활발치 않아…연구 수 부족한 상태
전문가들 “교육부 내 전담 조직, 중장기 전략 수립 필요해”

오늘날 우리는 1분 1초마다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쌓이는 빅데이터 시대에 살고 있다. 세계적으로 빅데이터의 중요성은 확대되고 있지만, 국내 고등교육에서는 아직 빅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다수다. 더불어 빅데이터를 이용해 교육정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분석 역시 이어지고 있다.

빅데이터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처리‧저장하고, 목적에 따라 분석해 필요한 지식을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그중에서도 교육 분야의 빅데이터는 교육정보시스템이나 각종 강의 자료, 그리고 학생의 성적이나 학습 활동에 대한 교육 전반에 대한 데이터들을 의미한다. 최근 선진국들은 교육 정책 수립‧시행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교육 관련 연구의 과학적 시행을 위해 정교하게 조사된 교육 빅데이터를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추세다.

국내 교육통계 조사는 1963년부터 매년 제작되고 있다. 1997년까지는 국립교육평가원에서 시행됐으며, 이때까지는 전산화된 시스템이 아닌 수기작업을 통한 교육통계 조사가 시행됐다. 1998년 한국교육개발원에 이관되면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교육통계조사가 실시됐으며, 이 시기 이후 데이터는 모두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관리되고 있다.

■빅데이터, 고등교육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나?=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부는 평가제도를 통해 입학정원을 조절하고 있으며, 대학은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입학 예정자들의 요구 사항과 관심사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가 없어 조정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다수다. 이러한 상황에서 빅데이터를 통해 고등학교 선택 교과를 분석하고, 학과‧전공 수급 예측 시스템을 개발한다면 대학과 입학생들의 수요-공급 간 미스 매치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 신규 초등교원 수요가 급감했지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장기 교원 수급 계획의 실패로 교육대학 재학생‧졸업생들과 교육부처 간 갈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 같은 교원 수급 문제 역시 빅데이터를 활용해 예측 가능하다. 1999년 이후 축적돼있는 교육통계 DB에서 명예퇴직한 교원 정보를 빅데이터 기법을 통해 분석하고, 추후 교원 수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연계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교원 수급 예측 데이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또 전국 대학 졸업자 취업‧진학 등 진로 상황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다수다. 우선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패턴분석 △유사그룹 유형화 △개인별 맞춤정보 산출 등 취업통계 빅데이터를 취합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면, 진로결정이 필요한 정보수요자는 빅데이터 분석에 따라 개인 맞춤형 진로 정보, 진로 컨설팅 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 빅데이터 연구는 ‘시작 단계’, 데이터는 ‘분산’= 앞서 소개한 경우 외에도 교육정책 수립 시 빅데이터의 중요성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교육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시작 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정보 접근‧분석 방법의 어려움으로 관련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라는 비판이 많다.

게다가 각 정부부처에서는 빅데이터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에 비해, 교육부는 ‘빅데이터 교육지원을 위한 협업추진계획’ 같은 주로 학생들의 빅데이터 교육에 치중된 빅데이터 계획만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처럼 분산된 데이터 관리 구조상으로는 교육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구축해 활용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이에 교육통계 전문가들은 “빅데이터 시대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교육부 내 빅데이터 전담 조직이 개설돼야 하고, 해당 조직을 중심으로 교육 빅데이터를 관리하고 관련 정책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더불어 “빅데이터 관련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하기 앞서 향후 5개년을 바라보는 중장기적 ‘교육분야 빅데이터 추진 중장기 전략’의 수립이 우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현지 기자

기사원문 바로가기